SK텔레콤(SKT) 액면분할 인적분할, 5대 1 주식 액면분할 추진 일정
SK텔레콤 액면분할과 인적분할 소식입니다
SK텔레콤이 10일 이사회를 열고 존속회사 SK텔레콤과 신설회사 SKT신설투자(가칭)로의 인적분할과 5대 1 주식 액면분할을 결의했다고 공시했습니다.
SKT 인적분할 비율은 순자산 장부가액 기준으로 존속회사 0.6073625, 신설회사 0.3926375이고 분할 기일은 11월 1일 입니다.
존속회사의 사명은 SK텔레콤을 유지하고, 신설회사의 사명은 임시주주총회 전에 확정할 예정입니다.
SK텔레콤은 10월 12일 임시주주총회를 거쳐 11월 1일 존속회사와 신설회사로 새로 출범합니다.
두 회사는 주식 매매거래정지 기간(10월 26일~11월 26일)이 종료되면 11월 29일에 변경상장(존속회사) 및 재상장(신설회사) 됩니다.
SK텔레콤 인적분할 추진 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또한 SKT 인적분할과 함께 주주들의 투자 접근성과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해 보통주 1주당 가액을 500원에서 100원으로 액면분할을 추진합니다.
이에 따라 SK텔레콤 발행 주식 총수는 현재 7천206만143주에서 3억6천30만715주로 늘어나며, 이는 6대 4 분할비율대로 존속회사와 신설회사로 나눠집니다.
SK텔레콤 액면분할과 인적분할의 효과는 모두 변경상장 및 재상장일인 11월 29일부터 유가증권시장에 반영됩니다.
SKT 액면분할로 SK텔레콤 주식 20주를 가진 주주라면, 5배 늘어난 100주를 갖게 되며 약 6대 4 분할비율에 따라 존속회사 주식 60주와 신설회사 주식 39주를 받게 됩니다.
소수점 이하 단주는 11월 29일 종가로 환산해 현금으로 지급받습니다.
최근 액면분할을 시행한 카카오는 액면분할로 인한 주당 가격의 하락이 거래량, 주가, 시가총액 상승을 이끄는 호재로 작용하는 분위기입니다.
카카오는 6월 10일 기준 액면분할 이후 약 30% 상승한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SK텔레콤 인적분할에 따라 존속회사는 AI, 디지털 인프라 사업에, 신설회사는 반도체, ICT 투자 영역에 집중하게 됩니다.
신설회사는 우선 글로벌 반도체 시장을 무대로 인수합병(M&A)을 적극적으로 추진합니다.
보안(ADT캡스), 커머스(11번가), 모빌리티(티맵모빌리티) 등 다양한 ICT 영역에서 국내외 투자를 통해 사업 경쟁력을 높이고, 자회사 IPO(기업공개)를 추진합니다.
존속회사는 AI 기술로 구독, 메타버스(Metaverse) 등 신규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관련 사업을 적극적으로 확장해 나갈 예정입니다.
SKT신설투자(신설회사)에는 총 16개 회사를 편제합니다.
대상 회사는 SK하이닉스, ADT캡스, 11번가, 티맵모빌리티, 원스토어, 콘텐츠웨이브, 드림어스컴퍼니, SK플래닛, FSK L&S, 인크로스, 나노엔텍, 스파크플러스, SK Telecom CST1, SK Telecom TMT Investment, ID Quantique, Techmaker 입니다.
SK Telecom CST1은 SK텔레콤과 컴캐스트가 1, 2대 주주인 e스포츠 기업이며, SK Telecom TMT Investment는 SK텔레콤 미국 투자회사로 싱클레어 합작회사 등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ID Quantique는 SK텔레콤이 1대 주주인 스위스 양자암호기업이며, Techmaker는 SK텔레콤과 도이치텔레콤 기술합작회사입니다.
SK텔레콤(존속회사)에는 유무선통신 사업에 시너지를 낼 수 있는 SK브로드밴드, SK텔링크, 피에스앤마케팅, F&U신용정보, 서비스탑, 서비스에이스, SK오앤에스 등이 편제됩니다.
존속회사는 신설회사로 배치될 16개 회사를 제외하고 기존에 지분 투자했던 기업들의 지분을 모두 그대로 보유합니다.
지금까지 SKT 액면분할, 인적분할 소식으로 추진 일정 등에 대해 알아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