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월 공모주 청약 일정, IPO 일정 (오름테라퓨틱, 엘케이켐, 심플랫폼 등)
1월 18일 기준으로 2025년 2월 공모주 일정, IPO 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월에는 동방메디컬, 아이에스티이, 오름테라퓨틱, 동국생명과학, 대진첨단소재, 모티브링크, 위너스, 엘케이켐, 심플랫폼, 한텍의 공모가 일반투자자를 대상으로 청약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2025년 2월 공모주 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2월 3일과 4일에는 동방메디컬과 아이에스티이가 청약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동방메디컬은 한방 침, 부항 컵 등 한방 의료 제품과 필러, 각종 특수 침 등 미용 의료 제품을 만드는 기업입니다. 동방메디컬이 보유한 지식재산권은 총 276건에 달합니다.
2023년 매출액은 약 909억원, 영업이익은 약 165억원이었고, 지난해 3분기까지의 매출액은 약 770억원, 영업이익은 약 122억원이었습니다.
이번 상장에서 총공모 주식 수는 300만주로, 총공모액은 공모 희망가 상단 기준 315억원입니다.
동방메디컬은 1월 16일부터 22일까지 기관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하고 최종 공모가를 1월 24일 확정할 예정입니다.
2013년에 설립된 아이에스티이는 반도체 장비를 개발하고 양산하는 전문기업입니다. 반도체 핵심 공정 장비인 PECVD 개발에 성공함으로써 미래 성장을 위해 힘을 쏟고 있습니다. 전문 연구인력과 PECVD 국책과제 수행을 바탕으로 지난 2021년 SiCN PECVD 장비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2023년 매출액은 약 272억원, 영업이익은 약 7억원의 손실이 있었고, 지난해 3분기까지의 매출액은 약 278억원, 영업이익은 약 6억원이었습니다.
기술특례상장으로 진행하는 아이에스티이는 이번에 130만주를 공모하는데, 총 공모금액은 희망 공모가 밴드 상단기준으로 약 148억원입니다.
1월 21일부터 24일까지 기관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하고 최종 공모가는 1월 31일 확정할 예정입니다.
2월 4일과 5일에는 오름테라퓨틱이 청약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오름테라퓨틱은 이중 정밀 표적 단백질 분해 접근법 ‘티피디 스퀘어’(TPD²)를 기반으로 항체-분해약물접합체(DAC, Degrader-Antibody Conjugates) 분야 선두 바이오기업입니다.
2023년 매출액은 약 1천354억원, 영업이익은 약 956억원이었고, 지난해 3분기까지의 매출액은 약 209억원, 영업이익은 약 4억원의 손실이 있었습니다.
기술특례상장으로 진행하는 이번 상장의 총 공모 주식 수는 250만주로 총 공모액은 희망공모가 상단기준으로 750억원입니다.
오름테라퓨틱은 1월 17일부터 23일까지 기관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하고 최종 공모가를 2월 3일 확정할 예정입니다.
2월 5일과 6일에는 동국생명과학이 청약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2017년 5월 설립된 동국생명과학은 현재 국내 조영제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동국생명과학은 신경계, 근골격계 등 다양한 신체 부위에 사용할 수 있는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고, 지난 7월에는 가장 폭넓은 적응증을 보유한 ‘메디레이’를 출시하기도 했습니다.
2023년 매출액은 약 1,201억원, 영업이익은 약 85억원이었고, 지난해 3분기까지의 매출액은 약 1,000억원, 영업이익은 약 95억원이었습니다.
이번 상장을 통해 200만 주를 공모하는데, 총 공모 금액은 희망공모가 상단기준으로 286억원입니다.
동국생명과학은 1월 20일부터 24일까지 기관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하고 최종 공모가를 1월 31일 확정할 예정입니다.
2월 6일과 7일에는 대진첨단소재가 청약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2019년 설립된 대진첨단소재는 주력 제품으로 이차전지 공정용 소재인 대전방지 트레이 PET이형필름 등이 있습니다.
2023년 매출액은 약 646억원, 영업이익은 약 9.9억원이었고, 지난해 3분기까지의 매출액은 약 670억원, 영업이익은 약 42억원이었습니다.
대진첨단소재는 이번 상장에서 300만주를 공모하는데, 총 공모 금액은 희망공모가 상단기준으로 390억원입니다.
1월 22일부터 2월 3일까지 기관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하고 최종 공모가는 2월 5일 확정할 예정입니다.
2월 11일과 12일에는 모티브링크가 청약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모티브링크는 친환경 자동차 전동화 전력 변환 시스템 구축을 위한 원스톱 토탈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차량마다 맞춤형 전력 변환 시스템을 설계 및 개발하고 자체 테스트 모듈을 통해 신제품 검증을 진행해 개발 프로세스 내 테스트와 인증 과정에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3년 매출액은 약 829억원, 영업이익은 약 45억원이었고, 지난해 3분기까지의 매출액은 약 497억원, 영업이익은 약 21억원이었습니다.
총공모 주식 수는 302만590주로 총 공모 금액은 희망공모가 상단기준으로 약 181억원입니다.
1월 31일부터 2월 6일까지 기관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하고 최종 공모가는 2월 10일 확정할 예정입니다.
2월 13일과 14일에는 위너스와 엘케이켐이 청약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위너스는 2004년 설립됐고 배선 기구의 개발 및 공급으로 사업을 시작해 최근에는 에너지 하베스팅(외부 에너지를 전기로 바꿔 저장) 기술 토대의 무전원 스위치와 전기차 충전기 등 신성장 제품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최근 전기 화재 사고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면서 자동 소화 기능 등을 갖춘 안전캡 멀티 콘센트와 대기 전략을 차단할 수 있는 일체형 스위치를 제품에 적용했고, 국내 최초로 결로 방지 콘센트를 개발했습니다.
2023년 매출액은 약 276억원, 영업이익은 약 35억원이었고, 지난해 3분기까지의 매출액은 약 197억원, 영업이익은 약 21억원이었습니다.
위너스는 이번 상장에서 170만 주를 공모하는데, 총 공모 금액은 희망공모가 상단기준으로 약 145억원입니다.
2월 4일부터 10일까지 기관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하고 최종 공모가는 2월 12일 확정할 예정입니다.
2007년 11월 설립된 엘케이켐은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전기적 특성을 강화하고 안정적인 유전체 층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소재인 CP 리간드와 PCP 리간드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또한 균일하고 얇은 절연막을 만들어 반도체 성능과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데 기여하는 DIS 프리커서도 엘케이켐의 주요 제품입니다.
2023년 매출액은 약 153억원, 영업이익은 약 5.6억원이었고, 지난해 3분기까지의 매출액은 약 198억원, 영업이익은 약 89억원이었습니다.
엘케이켐은 이번 상장에서 100만주를 공모하는데, 총 공모 금액은 희망공모가 상단기준으로 210억원입니다.
2월 4일부터 10일까지 기관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하고 최종 공모가는 2월 12일 확정할 예정입니다.
2월 20일과 21일에는 심플랫폼과 한텍이 청약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심플랫폼은 2011년 설립 이후 AI와 IoT 기술을 융합한 데이터 솔루션 개발에 주력해왔습니다.
IoT 기술을 활용해 설비 및 기기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저장, 관리, 분석, 예측하는 전 과정을 통합 처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예지 정비, 품질 검사, 생산 최적화, 공급망 최적화, 리소스 최적화, 제품 서비스화 등의 솔루션을 고객사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3년 매출액은 약 44억원, 영업이익은 약 1.5억원의 손실이 있었고, 지난해 3분기까지의 매출액은 약 8.5억원, 영업이익은 약 40억원의 손실이 있었습니다.
기술특례상장으로 진행하는 이번 상장에서 92만주를 공모하는데, 총 공모 금액은 희망공모가 상단기준으로 138억원입니다.
2월 11일부터 17일까지 기관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하고 최종 공모가는 2월 19일 확정할 예정입니다.
1998년 설립된 한텍은 플랜트 건설에 필수적인 화공기기와 산업용 초저온가스 저장탱크 설계·제작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2023년 매출액은 약 1,786억원, 영업이익은 약 152억원이 있었고, 지난해 3분기까지의 매출액은 약 1,152억원, 영업이익은 약 116억원이었습니다.
이번 상장에서 3,309,000주를 공모하는데, 총 공모 금액은 희망공모가 상단기준으로 약 357억원입니다.
2월 11일부터 17일까지 기관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하고 최종 공모가는 2월 19일 확정할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1월 18일 기준으로 2025년 2월 공모주 청약 일정, IPO 일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2025년 2월 공모주 청약 일정을 참조하셔서 성공 투자하세요.
※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투자자 본인의 책임하에 철저한 위험관리를 바탕으로 투자는 신중히 결정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