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윙(Wing)은 화면 2개를 돌려서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하드웨어 폼팩터로 또 다른 혁신적인 제안이고 새로운 시도의 스마트폰 입니다.
그리고 LG 윙은 5G 이동통신을 지원합니다.
LG 윙에는 폼팩터 변화와 5G를 위해 퀄컴 스냅드래곤 765G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로 탑재했습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스마트폰에서 머리 역할을 하는 부품입니다.
스냅드래곤7 시리즈는 업계 최초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5G 통신칩을 1개 칩으로 구성한 것이 특징으로 7나노미터 공정으로 생산했기 때문에 전력 소모량과 크기를 줄였습니다.
제품명 스냅드래곤 765G의 G는 게임에 특화했다는 뜻입니다.
LG전자는 스냅드래곤 765G로 디자인과 성능을 확보하고자 한 것으로 보입니다.
LG 윙은 2개 디스플레이를 장착했는데 추가한 디스플레이 만큼이나 일반 스마트폰 보다 두껍습니다.
그래서 두께를 최소화하는데 많은 노력과 힘을 기울였을 것 입니다.
LG전자는 이 과정에서 스냅드래곤 765G로 두께 증가를 최소화하는 것으로 결정했을 것입니다.
스냅드래곤 765G의 그래픽 처리장치(GPU)는 기존 765 AP 대비 더 빠른 그래픽 렌더링을 제공하여 성능이 10% 더 높아졌습니다.
유출된 벤치마크 수치 등에 따르면 삼성 엑시노스 980이나 하이실리콘 기린 810 대비 GPU 성능이 소폭 앞서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2개 디스플레이 사용자 환경(UI)에 최적화 했습니다.
또한 5세대 퀄컴 인공지능(AI) 엔진은 5.5 TOPS AI 성능을 제공합니다.
이처럼 스냅드래곤 765G는 제품 디자인 및 게임에 강점이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입니다.
그리고 스냅드래곤 765G의 5G 최대 다운로드 속도는 3.7Gbps, 최대 업로드 속도는 1.6Gbps로 5G의 6GHz 이하 대역과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을 모두 지원합니다.
국내 통신사가 서비스하고 있는 3.5GHz 주파수와 추가로 구축 예정인 28GHz 주파수 대역에서 모두 접속이 가능합니다.
5G만으로 통신을 하는 SA(Stand Alone) 표준도 적용되어 있습니다.
현재 국내 통신사의 5G서비스는 LTE와 5G를 혼용하는 NSA (Non-Standalone)표준을 사용하고 있는데, 향후 5G만으로 통신하게 되면 낮은 지연시간(빠른 응답속도) 등에서 5G 본연의 특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NSA는 초기 상용망에 적용되는 구조로, 단말의 이동성(mobility) 관리 등을 담당하는 제어 플레인 (control plane)의 동작은 4G LTE 망을 활용하면서 사용자 플레인(User plane/Data plane)에 해당하는 데이터 트래픽은 5G 망으로 주고 받습니다.
SA 구조는 제어 채널이나 데이터 채널 모두 5G의 자체 구조를 사용하는 구조입니다.
NSA, SA 두 가지 구조 모두에서 단말은 4G, 5G 두 무선 접속을 동시에 지원하는 형태로 진화하게 됩니다.
LG 전자는 9월14일에 LG 윙 공개 행사를 진행하고, 시중에는 9월 말이나 10월 초에 출시될 것으로 보입니다.
LG 윙(Wing) 공개, 스펙과 기능 정리, 가격? 출시일? (0) | 2020.09.15 |
---|---|
갤럭시 S20 FE(팬에디션) 공개? 23일 언팩 행사 (0) | 2020.09.14 |
유심(USIM)없는 통신모듈, 유심 없이 통신하는 IoT 기기, 유심 카드란? (0) | 2020.09.08 |
아이폰12 공개 임박, 출시일? 애플워치6와 10월출시? (0) | 2020.09.07 |
진정한 5G 속도 가능한 28GHz 5G 상용화는 언제? (0) | 2020.09.0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