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 상장 소식으로 케이뱅크가 본격적인 IPO 절차에 돌입한다는 소식입니다.
국내 1호 인터넷은행 케이뱅크는 최근 국내외 주요 증권사에 코스피 상장을 위한 입찰제안서를 발송했고, 이달 중 증권사의 제안서를 받아 다음달 중 주관사단을 선정할 예정입니다.
케이뱅크는 구체적인 상장 일정에 대해 대표주관사 계약 체결 이후 확정할 계획이라고 하는데, 증권가에서는 케이뱅크 상장일이 이르면 연말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상반기만 해도 케이뱅크의 상장은 2023년쯤 이뤄질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하지만 출범 이후 4년만인 지난해 3분기 168억원, 누적 84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하자 케이뱅크 IPO 시계가 빨라졌습니다.
2017년 4월 출범한 케이뱅크는 지난해 7월 인터넷은행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인 1조2500억원 유상증자를 통해 경영 정상화에 성공한 뒤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실제로 유상증자 이후 지난해 3분기까지 누적 84억원의 흑자를 기록, 지난해 첫 연간 흑자전환이 유력합니다.
케이뱅크는 2020년 6월 시장점유율 1위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와 계좌발급을 제휴하면서 몸집이 빠르게 커졌습니다.
고객 수는 지난해 말 기준 717만명으로, 2020년 말의 219만명과 비교해 3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고객수 확대에 따라 같은기간 여수신 잔액은 여신은 2020년말 2조9900억원에서 7조900억원으로, 수신은 3조7500억원에서 11조3200억원으로 각각 확대됐습니다.
추가로 NHN데이터에 따르면 케이뱅크앱은 지난해 설치수가 가장 많이 상승한 앱 4위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성장성을 바탕으로 장외시장에서 케이뱅크의 몸값은 8조원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케이뱅크의 높은 생산성과 KT, BC카드 등 주주사들과의 협업 등을 잘 활용한다면 시장 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평가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증권업계는 케이뱅크가 업비트와의 제휴로 큰 폭의 성장을 이룬 반면 높은 업비트 의존도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업비트에 대한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고, 또 최근 가계대출 규제로 대출 시장이 축소되고 있다는 점이 한계로 지목됩니다.
만약 가상자산 시장이 침체되면 자칫 케이뱅크의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가계대출 총량관리 등 금융당국의 규제가 강해지고 있다는 것도 케이뱅크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꼽힙니다.
지금까지 케이뱅크 상장 소식으로 IPO 준비 상황 및 예상되는 케이뱅크 상장일 등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 이 글은 개인적인 의견으로 수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주식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철저한 위험관리와 함께 투자를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현대 전기차 아이오닉6 제원 디자인 출시일 가격 (0) | 2022.02.06 |
---|---|
2022년 2월 공모주 청약 일정, IPO 일정 (0) | 2022.01.21 |
2022년 1월 공모주 청약 일정, IPO 일정 (0) | 2021.12.24 |
현대엔지니어링 상장 주관사 공모가 상장일 청약일 IPO 일정 (0) | 2021.12.11 |
2021년 12월~ 2022년 1월 공모주 청약 일정, IPO 일정 (0) | 2021.12.08 |
댓글 영역